오류 메세지

 

가상 머신 플랫폼 Windows 기능을 사용하도록 설정하고 BIOS에서 가상화를 사용하도록 설정되어 있는지 확인하세요

 

해결책

  • DISM /Online /Enable-Feature /All /FeatureName:Microsoft-Hyper-V
  • bcdedit /set hypervisorlaunchtype auto

'WS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WSL관련 폴더 및 파일명 대소문자 구분 하기  (0) 2022.01.29
WSL2에서 개발하기  (0) 2022.01.26
WSL2 (Windows Subsystem Linux) 설치  (0) 2022.01.26

윈도우는 폴더 및 파일명의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.

WSL 에서는 폴더 및 파일명의 대소문자를 구분한다.

 

대소문자 구분하지 않는 폴더에 

 

fsutil.exe file setCaseSensitiveInfo <path> enable

해주면 해당 폴더는 대소문자를 구분하게 된다.

이때 해당 폴더는 빈 폴더여야 한다.

 

enable -> disable 로 해주면 대소문자 구분 하지 않는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https://docs.microsoft.com/ko-kr/windows/wsl/case-sensitivity

 

대/소문자 구분

Windows Linux 파일 시스템 간에 대/소문자 구분 파일 이름을 처리하는 방법, WSL을 사용하여 디렉터리별로 이러한 설정을 조정하는 방법 및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.

docs.microsoft.com

 

 

 

'WS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WSL2 실행 오류  (0) 2022.04.14
WSL2에서 개발하기  (0) 2022.01.26
WSL2 (Windows Subsystem Linux) 설치  (0) 2022.01.26

0. Windows Terminel 설치

https://docs.microsoft.com/ko-kr/windows/terminal/install

 

1. VSCode 설치

https://code.visualstudio.com/download

 

2. 원격개발을 위한 개발 확장팩 설치

https://marketplace.visualstudio.com/items?itemName=ms-vscode-remote.vscode-remote-extensionpack

 

3. windows ternimal 실행

ubuntu 섹션에서

 

sudo apt install gdb gcc

 

작업 dir 이동 후 

 

code .

vscode 실행되면 개발 시작

 

 

 

 

 

참고 목록

 

https://docs.microsoft.com/ko-kr/windows/wsl/tutorials/wsl-vscode

 

WSL에서 VS Code 사용 시작

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하고 디버그하도록 VS Code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.

docs.microsoft.com

https://velog.io/@embeddedjune/VSCode-WSL2%EB%A5%BC-%EC%9D%B4%EC%9A%A9%ED%95%9C-CC-%EC%BB%B4%ED%8C%8C%EC%9D%BC%EB%B9%8C%EB%93%9CGDB-%EB%94%94%EB%B2%84%EA%B9%85-%EB%B0%A9%EB%B2%95-%EB%A9%94%EB%AA%A8

 

VSCode WSL2를 이용한 C/C++ 컴파일/빌드/GDB 디버깅 방법 메모

2020년 5월 MS에서는 윈도우10의 2004버전(빌드 19041)을 발표했습니다.이번 발표의 핵심은 단연코 "WSL2"가 아닐까 싶습니다.강력하지만 아직 주력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았던 기존의 WSL이 발

velog.io

https://dreamhack.io/forum/community/284

 

윈도우에 리눅스 시스템 실습환경 만들기

리눅스 환경구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때 쓴 옛날 글입니다. 아래 링크의 강의를 참고해서 환경구축해보세요. https://dreamhack.io/lecture/courses/44…

dreamhack.io

 

'WS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WSL2 실행 오류  (0) 2022.04.14
WSL관련 폴더 및 파일명 대소문자 구분 하기  (0) 2022.01.29
WSL2 (Windows Subsystem Linux) 설치  (0) 2022.01.26

1. Windows 10 버전 2004 이상(빌드 19041 이상) 또는 Windows 11

wsl --install

기본 Ubuntu 로 설치됨

 

 

 

 

2. Windows 10 버전 2004 이전(빌드 19041 이전) 인 경우

https://docs.microsoft.com/ko-kr/windows/wsl/install-manual

 

 

 

 

참조

https://docs.microsoft.com/ko-kr/windows/wsl/install

 

WSL 설치

wsl --install 명령을 사용하여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을 설치합니다. Ubuntu, Debian, SUSE, Kali, Fedora, Pengwin, Alpine 등 원하는 Linux 배포판에서 실행되는 Windows 머신에서 Bash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습니

docs.microsoft.com

 

'WS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WSL2 실행 오류  (0) 2022.04.14
WSL관련 폴더 및 파일명 대소문자 구분 하기  (0) 2022.01.29
WSL2에서 개발하기  (0) 2022.01.26

+ Recent posts